팀 '마인드위키'는 청년들의 시선에서 청년들에게 필요한 정신건강 뉴스를 제작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팀 마인드위키는 연령대에 상관없이 쉽게 정신건강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끔 카드뉴스를 제작하여 SNS에 배포하였습니다. 멋진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실행한 팀 마인드위키의 임팩트 리포트를 공유합니다!
2024 영마인드 링크
청년 정신건강 혁신 프로젝트 <최종 임팩트 리포트>
팀 소개 :
정신건강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정보제공을 통해 도움을 줄 수 있고, 다양한 정보를 거부감 없이 전달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21팀 마인드위키입니다.
프로젝트 소개 :
우리가 찾고 우리가 만드는 카드뉴스로, 청년들의 시선에서 청년들에게 필요한 정신건강 뉴스를 제작한다. 특히 나이에 상관없이 쉽게 정신건강에 대한 정보를 얻게 하기 위한 노력을 했다.
주목하는 사회문제 :
제주 지역 청년 인구 중 '고립 청년'은 3,683명(2.2%), '은둔 청년'은 4,061명(2.5%)으로, 이들의 정신 건강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나 인식과 지원이 부족함
주목하는 대상 :
정보의 편차로 인해 정신건강 복지 혜택을 받지 못하는 제주 거주 청년
혁신적 접근 :
제주 저활력 청년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다양한 온라인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인스타그램과 같은 SNS 플랫폼에서 효과적으로 노출시키는 전략을 구현
문제해결 솔루션 :
맞춤형 정보제공 컨텐츠 개발 및 온라인 확산
주요 활동 :
1) 청년들의 니즈와 관점을 반영한 정신건강 컨텐츠 개발
2) 총 30건의 카드뉴스 작성 목표 설정.
3) 카드뉴스를 통해 쉽고 간단하게 정보를 제공하여 청년들에게 접근성 높임.
4)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카드뉴스 게시 및 확산 노력
미래 방향성 :
제주도 청년들이 더 많은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인 정보 제공 및 커뮤니티 활성화
프로젝트 관련 온라인 링크 및 홍보 :
마인드 위키 공식 인스타그램 (카드뉴스 업로드)
https://www.instagram.com/mind_wiki/
청년 정신건강 혁신 프로젝트, 영마인드 링크
영마인드 링크 프로젝트는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와 멘탈헬스코리아가 주최하는 사업으로, 250명의 청년들이 진행하는 정신건강 혁신 프로젝트입니다. 전국에서 모인 250명의 청년들은 50개의 팀을 이루어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진행해 왔습니다.
영마인드 링크 프로젝트는 기존 솔루션으로 해결하지 못한 문제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 제시와 사회가 문제로 인식하지 못했던 사안에 대한 새로운 이슈 제기로 구분됩니다. 전국 각지의 팀들은 이 두 가지 아이디어를 실험하며, 임팩트 리포트를 통해 지역사회, 센터, 정부에 새로운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습니다.
조현병 가족돌봄 선배 영케어러와 연결해 정보와 노하우를 제공하는 커뮤니티 프로젝트, 전역 군인 사회 적응 패키지 프로그램 개발, 도박 중독 예방 프로그램, 자해 문제를 겪는 후기 청소년들의 음원 제작 프로젝트, 자살 생존자 돌봄 청년을 위한 서포트 그룹 및 매뉴얼 제작 프로젝트, 감정 가계부 앱 개발을 통한 둠 스펜딩 문제 개선 프로젝트, 제주도 1인 가구 고립 청년 문제 해결을 위한 건강한 네트워크 및 커뮤니티 제공 프로젝트 등의 다양한 주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자신들이 설정한 소셜 미션을 위해 열심히 힘써주신 모든 청년분들 수고 많으셨습니다. 각 팀의 소중한 프로젝트로 완성된 영마인드 링크에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립니다.
팀 '마인드위키'는 청년들의 시선에서 청년들에게 필요한 정신건강 뉴스를 제작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팀 마인드위키는 연령대에 상관없이 쉽게 정신건강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끔 카드뉴스를 제작하여 SNS에 배포하였습니다. 멋진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실행한 팀 마인드위키의 임팩트 리포트를 공유합니다!
2024 영마인드 링크
청년 정신건강 혁신 프로젝트 <최종 임팩트 리포트>
팀 소개 :
정신건강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정보제공을 통해 도움을 줄 수 있고, 다양한 정보를 거부감 없이 전달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21팀 마인드위키입니다.
프로젝트 소개 :
우리가 찾고 우리가 만드는 카드뉴스로, 청년들의 시선에서 청년들에게 필요한 정신건강 뉴스를 제작한다. 특히 나이에 상관없이 쉽게 정신건강에 대한 정보를 얻게 하기 위한 노력을 했다.
주목하는 사회문제 :
제주 지역 청년 인구 중 '고립 청년'은 3,683명(2.2%), '은둔 청년'은 4,061명(2.5%)으로, 이들의 정신 건강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나 인식과 지원이 부족함
주목하는 대상 :
정보의 편차로 인해 정신건강 복지 혜택을 받지 못하는 제주 거주 청년
혁신적 접근 :
제주 저활력 청년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다양한 온라인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인스타그램과 같은 SNS 플랫폼에서 효과적으로 노출시키는 전략을 구현
문제해결 솔루션 :
맞춤형 정보제공 컨텐츠 개발 및 온라인 확산
주요 활동 :
1) 청년들의 니즈와 관점을 반영한 정신건강 컨텐츠 개발
2) 총 30건의 카드뉴스 작성 목표 설정.
3) 카드뉴스를 통해 쉽고 간단하게 정보를 제공하여 청년들에게 접근성 높임.
4)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카드뉴스 게시 및 확산 노력
미래 방향성 :
제주도 청년들이 더 많은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인 정보 제공 및 커뮤니티 활성화
프로젝트 관련 온라인 링크 및 홍보 :
마인드 위키 공식 인스타그램 (카드뉴스 업로드)
https://www.instagram.com/mind_wiki/
청년 정신건강 혁신 프로젝트, 영마인드 링크
영마인드 링크 프로젝트는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와 멘탈헬스코리아가 주최하는 사업으로, 250명의 청년들이 진행하는 정신건강 혁신 프로젝트입니다. 전국에서 모인 250명의 청년들은 50개의 팀을 이루어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진행해 왔습니다.
영마인드 링크 프로젝트는 기존 솔루션으로 해결하지 못한 문제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 제시와 사회가 문제로 인식하지 못했던 사안에 대한 새로운 이슈 제기로 구분됩니다. 전국 각지의 팀들은 이 두 가지 아이디어를 실험하며, 임팩트 리포트를 통해 지역사회, 센터, 정부에 새로운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습니다.
조현병 가족돌봄 선배 영케어러와 연결해 정보와 노하우를 제공하는 커뮤니티 프로젝트, 전역 군인 사회 적응 패키지 프로그램 개발, 도박 중독 예방 프로그램, 자해 문제를 겪는 후기 청소년들의 음원 제작 프로젝트, 자살 생존자 돌봄 청년을 위한 서포트 그룹 및 매뉴얼 제작 프로젝트, 감정 가계부 앱 개발을 통한 둠 스펜딩 문제 개선 프로젝트, 제주도 1인 가구 고립 청년 문제 해결을 위한 건강한 네트워크 및 커뮤니티 제공 프로젝트 등의 다양한 주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자신들이 설정한 소셜 미션을 위해 열심히 힘써주신 모든 청년분들 수고 많으셨습니다. 각 팀의 소중한 프로젝트로 완성된 영마인드 링크에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