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마인드 링크] 팀 '어도러블'의 최종 임팩트 리포트를 공유합니다 :)

멘탈헬스코리아
2024-12-13
조회수 32

팀 '어도러블'은 정신건강 및 마음관리를 위한 서비스 이용에 있어 접근 장벽이 높은 현실을 인지하고, 뛰어난 접근성을 가진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특성을 활용하여 시공간적 제약을 해소하고자 하였습니다. 팀 어도러블은감정과 소비 기록 데이터를 분석하여 건강한 소비습관을 이끄는 감정가계부 앱 'Count-ON'을 개발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소비패턴을 분석하고 심리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습니다. 멋진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실행한 팀 어도러블의 임팩트 리포트를 공유합니다! 







2024 영마인드 링크


청년 정신건강 혁신 프로젝트 <최종 임팩트 리포트>





팀 소개 :

저희 팀은 정신건강 및 마음관리를 위한 서비스 이용에 있어 접근 장벽이 높은 현실을 인지하고, 뛰어난 접근성을 가진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특성을 활용하여 시공간적 제약을 해소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높은 벽을 뛰어넘게 하는게 아닌,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문을 만들어준다는 의미로 어도러블(A-Door-able)로 지었습니다.



프로젝트 소개 : 

정서 조절과 소비 습관 개선을 동시에 목표로 하며, 감정가계부 기능의 소비 및 감정기록앱을 통해 사용자가 자신의 소비패턴을 분석하고 심리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소비자 유형을 분류하고 데이터 분석을 통해 위험군과 안정군의 패턴을 도출함으로써 개인 맞춤의 정서적 지원과 추후 임상적 목적 데이터 활용의 창구 역할을 수행하고자 합니다.



주목하는 사회문제 :

20대 청년의 감정 소비 문제는 20대 카드 리볼빙 이월 잔액 급증, 신용대출 부채 악화 등 다양한 문제로 심화되고 있으나, 기존의 대안은 주로 구매행동 감소에만 한정되어 있어 소비습관 개선에 한계가 존재함



주목하는 대상 : 

감정소비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



혁신적 접근 : 

감정 가계부 기능의 소비 및 감정 기록 앱을 통해 정서 조절과 소비 습관 개선 동시 목표



문제해결 솔루션 : 

소비 패턴 분석 및 맞춤형 심리적 지원을 제공하는 앱 서비스 통해 감정 소비 행동 감소



주요 활동 :

1) 소비 유형 테스트 개발 : '쇼퍼스널리티' 테스트를 통해 20대 청년들의 소비 패턴과 감정을 유형화하여 개인의 소비 성향을 이해하고 적절한 개입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2) 소비 유형 캐릭터 개발 : 5개의 소비 유형 캐릭터를 설계하여 사용자들이 자신의 소비 성격을 쉽게 인식하도록 하였음 


3) 감정 가계부 기능 : 사용자들이 자신의 감정과 소비를 기록하고 분석할 수 있는 감정 가계부 기능 개발. 소비 행동이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감정 조절을 위한 도구로 기능 


4) 데이터 기반 맞춤형 피드백 : 소비자 유형 분석과 감정 기록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소비 행동을 분석하고 개인에 맞춘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하여 자신의 소비 패턴을 인식하고 개선할 수 있는 기회 제공 


5) 커뮤니티 형성 및 지원 : 사용자 간의 커뮤니티 소통 기능을 통해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고 지지하며, 함께 감정 관리와 소비 습관 개선을 목표로 할 수 있도록 커뮤니티 구축



미래 방향성 : 

정신건강을 일상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며, 소비와 감정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및 서비스 개발 통해 지속 가능한 해결책 모색



사진 자료 첨부 : 








청년 정신건강 혁신 프로젝트, 영마인드 링크


영마인드 링크 프로젝트는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와 멘탈헬스코리아가 주최하는 사업으로, 250명의 청년들이 진행하는 정신건강 혁신 프로젝트입니다. 전국에서 모인 250명의 청년들은 50개의 팀을 이루어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진행해 왔습니다. 

영마인드 링크 프로젝트는 기존 솔루션으로 해결하지 못한 문제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 제시와 사회가 문제로 인식하지 못했던 사안에 대한 새로운 이슈 제기로 구분됩니다. 전국 각지의 팀들은 이 두 가지 아이디어를 실험하며, 임팩트 리포트를 통해 지역사회, 센터, 정부에 새로운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습니다.

조현병 가족돌봄 선배 영케어러와 연결해 정보와 노하우를 제공하는 커뮤니티 프로젝트, 전역 군인 사회 적응 패키지 프로그램 개발, 도박 중독 예방 프로그램, 자해 문제를 겪는 후기 청소년들의 음원 제작 프로젝트, 자살 생존자 돌봄 청년을 위한 서포트 그룹 및 매뉴얼 제작 프로젝트, 감정 가계부 앱 개발을 통한 둠 스펜딩 문제 개선 프로젝트, 제주도 1인 가구 고립 청년 문제 해결을 위한 건강한 네트워크 및 커뮤니티 제공 프로젝트 등의 다양한 주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자신들이 설정한 소셜 미션을 위해 열심히 힘써주신 모든 청년분들 수고 많으셨습니다. 각 팀의 소중한 프로젝트로 완성된 영마인드 링크에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립니다.


0


채널톡 mentalhealthkorea.channel.io | 카카오톡: 멘탈헬스코리아 | E-mail. mentalhealthkorea@gmail.com

'No one should face a mental health challenge al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