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탈헬스코리아 x 국립정신건강센터,
청년 주도 정신건강 혁신 프로젝트
2024 영마인드 링크 Impact Report를 발간합니다.
멘탈헬스코리아-국립정신건강센터, 2024 영마인드 링크 임팩트 리포트(표지)
※임팩트 리포트 다운로드
(글 하단에 첨부되어 있습니다.)
※혁신 우수 수상팀 15개팀 피칭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ZR5DQ3kYXqo&embeds_referring_euri=https%3A%2F%2Fblog.naver.com%2F&source_ve_path=OTY3MTQ
올해 멘탈헬스코리아와 국립정신건강센터는 청년들이 정신건강 문제 해결의 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영마인드 링크'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참여한 청년들의 경험과 성장, 그리고 그들이 만든 프로젝트가 주변 청년들과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을 담은 임팩트 리포트를 발간했습니다.
이번 보고서는 청년들이 정신건강 리더로서 창출하는 다양한 영향과 변화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영마인드 링크'는 청년 정신건강 생태계를 변화시키기 위해 '청년 주도', '연결', '혁신'이라는 세 가지 임팩트 테마를 바탕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이 프로젝트에는 전국에서 210명의 청년들이 참여하여 그동안 사회적 주목을 받지 못했던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에 집중하고, 지역사회의 청년 인구를 대상으로 하는 50개의 혁신 프로젝트를 개발하는 성과를 이뤄냈는데요.
멘탈헬스코리아 최연우 대표는 “청년이 정신건강 생태계에서 수행해야 할 핵심적인 역할 중 하나는 기존의 방식을 당연히 여기지 않고, 더 나은 세상을 꿈꾸며 '왜?'라는 질문을 던지는 것”이라며, “이번 영마인드 링크를 통해 청년들이 새로운 시각과 신선한 관점으로 문제를 바라보고, 변화가 필요한 부분에 대해 직접 실천함으로써 기존에 늘 해왔던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는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서 “이러한 청년들의 노력과 시도는 앞으로 정신건강 생태계에서 청년들의 참여를 확대하고, 다양한 창의적 도전 및 혁신을 시도할 수 있는 지원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임팩트 리포트의 발간 취지를 밝혔습니다.
각 팀별로 진행된 50개의 프로젝트는 다양한 도전을 겪고 있는 청년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설계되었는데요.
특히, 그동안 사회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청년들과 그들이 처한 상황 및 니즈에 집중하여 보다 포괄적으로 청년 정신건강에 접근하고자 했습니다. 프로젝트의 대상에는 자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 아동학대 생존자, 제대 군인, N수생, 조현병 가족 돌봄 청년, 감정 소비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 경계선 지능을 가진 청년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청년층의 정신건강 문제를 심도 깊게 분석하고 필요에 맞춘 맞춤형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각 팀은 기획한 혁신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지역사회의 다른 청년들과의 연결 및 영향력 확산을 위해 다양한 유관기관, 기업, 단체와 협력 체계를 구축했습니다. 22개 지역의 정신건강복지센터 및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협력하여 지역사회의 청년 정신건강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였고, 총 142개의 학교, 기업, 병원 등 다양한 기관들이 각 팀의 프로젝트에 지원하고 협력했습니다.
이를 통해 진행된 50개의 혁신 프로젝트는 지역사회의 2,459명의 청년을 새롭게 연결하였으며, 청년들의 사회적 관계와 지지망 형성을 위해 개설한 서포트 커뮤니티는 총 133회 개최되었답니다. 또한, 각 팀은 총 76,266,800원의 추가 후원과 투자를 유치하였고, 혁신 프로젝트로 개발하여 운영한 앱 및 웹 서비스의 이용자 수는 13,188명에 달했습니다.
2024 영마인드 링크 임팩트 리포트 중
멘탈헬스코리아 장은하 부대표는 “이번 임팩트 리포트를 통해 청년들의 주도적 참여를 지원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고, 이들의 도전을 지속 가능하게 하는 자원과 생태계가 확대되는 데 중요한 역할이 되기를 기대합니다”라고 소감을 밝혔습니다.
팀별 혁신 프로젝트 성과 발표 영상은 국립정신건강센터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번에 발간된 ‘영마인드 링크 임팩트 리포트’는 멘탈헬스코리아 홈페이지에서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임팩트 하이라이트
임팩트 테마 1. 혁신적 접근과 도전
* 50개 청년 주도 혁신 프로젝트 개발
* 207회 청년 정신건강 문제 이슈라이징 캠페인
* 781개 온라인 콘텐츠 발행
* 13,188명 앱/웹 서비스 이용자 및 구독자 수
* 76,266,800원 외부 펀드레이징 금액
임팩트 테마 2. 사회적 연결 및 지역사회 파트너십
* 2,459명 프로젝트를 통해 새롭게 연결한 지역사회 청년들의 수
* 142곳 연대하거나 협력한 기업, 기관, 단체 수
* 133회 청년 서포트 커뮤니티 진행
* 85% 타 팀 프로젝트에 참여 또는 도움 경험
* 12개 영마인드 링크 참여자들이 자발적으로 구성한 내부 소모임의 수
임팩트 테마 3. 청년 정신건강 리더십 이니셔티브
* 210명 영마인드 링크 교육 및 프로젝트 수료자
* 93%: 앞으로도 다양한 형태로 사회 변화를 위한 참여 및 실천 의향
* 84%: 정신건강 혁신 프로젝트 지속 참여 의향
* 70%: 청년 정신건강 문제 및 타겟 청년에 대한 깊은 이해와 문제 의식 강화
* 65%: 전체 참여자의 정신건강 분야 진출 예정 비율
멘탈헬스코리아 x 국립정신건강센터,
청년 주도 정신건강 혁신 프로젝트
2024 영마인드 링크 Impact Report를 발간합니다.
멘탈헬스코리아-국립정신건강센터, 2024 영마인드 링크 임팩트 리포트(표지)
※임팩트 리포트 다운로드
(글 하단에 첨부되어 있습니다.)
※혁신 우수 수상팀 15개팀 피칭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ZR5DQ3kYXqo&embeds_referring_euri=https%3A%2F%2Fblog.naver.com%2F&source_ve_path=OTY3MTQ
올해 멘탈헬스코리아와 국립정신건강센터는 청년들이 정신건강 문제 해결의 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영마인드 링크'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참여한 청년들의 경험과 성장, 그리고 그들이 만든 프로젝트가 주변 청년들과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을 담은 임팩트 리포트를 발간했습니다.
이번 보고서는 청년들이 정신건강 리더로서 창출하는 다양한 영향과 변화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영마인드 링크'는 청년 정신건강 생태계를 변화시키기 위해 '청년 주도', '연결', '혁신'이라는 세 가지 임팩트 테마를 바탕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이 프로젝트에는 전국에서 210명의 청년들이 참여하여 그동안 사회적 주목을 받지 못했던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에 집중하고, 지역사회의 청년 인구를 대상으로 하는 50개의 혁신 프로젝트를 개발하는 성과를 이뤄냈는데요.
멘탈헬스코리아 최연우 대표는 “청년이 정신건강 생태계에서 수행해야 할 핵심적인 역할 중 하나는 기존의 방식을 당연히 여기지 않고, 더 나은 세상을 꿈꾸며 '왜?'라는 질문을 던지는 것”이라며, “이번 영마인드 링크를 통해 청년들이 새로운 시각과 신선한 관점으로 문제를 바라보고, 변화가 필요한 부분에 대해 직접 실천함으로써 기존에 늘 해왔던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는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서 “이러한 청년들의 노력과 시도는 앞으로 정신건강 생태계에서 청년들의 참여를 확대하고, 다양한 창의적 도전 및 혁신을 시도할 수 있는 지원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임팩트 리포트의 발간 취지를 밝혔습니다.
각 팀별로 진행된 50개의 프로젝트는 다양한 도전을 겪고 있는 청년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설계되었는데요.
특히, 그동안 사회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청년들과 그들이 처한 상황 및 니즈에 집중하여 보다 포괄적으로 청년 정신건강에 접근하고자 했습니다. 프로젝트의 대상에는 자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 아동학대 생존자, 제대 군인, N수생, 조현병 가족 돌봄 청년, 감정 소비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 경계선 지능을 가진 청년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청년층의 정신건강 문제를 심도 깊게 분석하고 필요에 맞춘 맞춤형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각 팀은 기획한 혁신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지역사회의 다른 청년들과의 연결 및 영향력 확산을 위해 다양한 유관기관, 기업, 단체와 협력 체계를 구축했습니다. 22개 지역의 정신건강복지센터 및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협력하여 지역사회의 청년 정신건강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였고, 총 142개의 학교, 기업, 병원 등 다양한 기관들이 각 팀의 프로젝트에 지원하고 협력했습니다.
이를 통해 진행된 50개의 혁신 프로젝트는 지역사회의 2,459명의 청년을 새롭게 연결하였으며, 청년들의 사회적 관계와 지지망 형성을 위해 개설한 서포트 커뮤니티는 총 133회 개최되었답니다. 또한, 각 팀은 총 76,266,800원의 추가 후원과 투자를 유치하였고, 혁신 프로젝트로 개발하여 운영한 앱 및 웹 서비스의 이용자 수는 13,188명에 달했습니다.
2024 영마인드 링크 임팩트 리포트 중
멘탈헬스코리아 장은하 부대표는 “이번 임팩트 리포트를 통해 청년들의 주도적 참여를 지원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고, 이들의 도전을 지속 가능하게 하는 자원과 생태계가 확대되는 데 중요한 역할이 되기를 기대합니다”라고 소감을 밝혔습니다.
팀별 혁신 프로젝트 성과 발표 영상은 국립정신건강센터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번에 발간된 ‘영마인드 링크 임팩트 리포트’는 멘탈헬스코리아 홈페이지에서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임팩트 하이라이트
임팩트 테마 1. 혁신적 접근과 도전
* 50개 청년 주도 혁신 프로젝트 개발
* 207회 청년 정신건강 문제 이슈라이징 캠페인
* 781개 온라인 콘텐츠 발행
* 13,188명 앱/웹 서비스 이용자 및 구독자 수
* 76,266,800원 외부 펀드레이징 금액
임팩트 테마 2. 사회적 연결 및 지역사회 파트너십
* 2,459명 프로젝트를 통해 새롭게 연결한 지역사회 청년들의 수
* 142곳 연대하거나 협력한 기업, 기관, 단체 수
* 133회 청년 서포트 커뮤니티 진행
* 85% 타 팀 프로젝트에 참여 또는 도움 경험
* 12개 영마인드 링크 참여자들이 자발적으로 구성한 내부 소모임의 수
임팩트 테마 3. 청년 정신건강 리더십 이니셔티브
* 210명 영마인드 링크 교육 및 프로젝트 수료자
* 93%: 앞으로도 다양한 형태로 사회 변화를 위한 참여 및 실천 의향
* 84%: 정신건강 혁신 프로젝트 지속 참여 의향
* 70%: 청년 정신건강 문제 및 타겟 청년에 대한 깊은 이해와 문제 의식 강화
* 65%: 전체 참여자의 정신건강 분야 진출 예정 비율